대부분의 지대가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한강이 마을을 가로질러 남북으로 흐른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갈호, 수호, 영암, 갈맬, 질골, 꽃대울을 합쳐 문호리가 되었다.
자연 마을로는 가루개, 맞은배, 밤나무둔지 등이 있다. 가루개는 갯가에 위치한다 하여 이름 붙여지게 되었다. 맞은배는 맞은바위가 있다는 의미에서 불리워진 이름이며, 밤나무둔지는 밤나무가 많다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가루개(갈호) | 밤나무둔지 남쪽 갯마을. 갈대와 칡이 많았다고 함. 대홍수가 지나가면서 마른 호수라는 이름을 붙였음 |
갈맬 | 무너미 북쪽 마을. 앞산의 지형이 말[馬]이 목이 마른 형상이라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
꽃대울[花谷] | 길곡 북쪽 마을. 주변에 진달래꽃이 많았다고 함 |
길곡(질곡) | 살기 좋은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 |
녹가골 | 갈맬 서남쪽 마을 |
늪벌 | 당미늪이 있는 들 |
다리골 | 수대울 동쪽 마을 |
당미늪 | 당미뿌리 앞의 늪 |
당미뿌리 | 바깥말 남쪽, 부리에 있는 마을. '당묘뿌리'라고도 함 |
덕고개 | 안무너미와 웃무너미 사이의 고개 |
두름바위 | 가루개 서쪽 바위 |
마당재 | 문호리의 나무꾼이 쉬는 터 |
맞은바위 | 밤나무둔지 맞은편의 바위 |
맞은배[迎岩] | 맞은바위가 있는 마을. 마을 입구의 이 바위가 지역 주민을 맞이한다고 하여 붙은 이름 |
무너미나루 | 무너미 앞의 북한강나루터 |
밤나무둔지[栗坪] | 무너미 남쪽 마을. 밤나무가 많았음 |
성주바위 | 북한강가의 낚시터 |
수대울[壽湖] | 가루개 남동쪽 마을. 물이 언제나 많았던 곳이라 하며, '수대곡'이라고도 함 |
수호교(壽湖橋) | 수호 서쪽의 다리 |
숫돌고개 | 웃무너미 동북쪽 고개. 수입리로 넘는 고개 |
오리골 | 갈맬 남쪽 갯마을 |
왜수 | 안말 서북쪽 골짜기 |
잔갈말 | 갈맬의 작은 마을 |
장터거리 | 안말 남쪽의 장이 서는 곳 |
조절 | 바깥말 북쪽 골짜기 |
하가동 | 중간말 동쪽의 마을 |
활인소태 | 안말 북쪽의 공동묘지가 있던 들 |
꽃피는 산골 | 새로 생긴 전원 주택 마을 |
이 외에도 넘은골, 논골, 덥푸지개울, 두름바위소, 매바위, 문호교, 바깥말(골무케), 비둑재, 사당골, 상문호(웃무너미), 아랫가루개, 아랫무너미(하문호), 안무너미(안말, 내문호), 어신여울, 웃가루개, 자라바위, 중간말, 중방여울, 큰갈말, 화성돌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문호리 [Munho-ri, 汶湖里] (두산백과)
댓글 달기